해외주식

미국증시 업종별 상장지수펀드(ETF) 가이드 ①

보거스 투자띵크 2022. 9. 4. 04:15
반응형

 

전 세계 경제 대통령이라 불리는 제롬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지난 8/26일 잭슨홀 미팅 발표에서 "경기부양 보다는 인플레이션 억제" 에 중점을 두겠다는 짧지만 임팩트 있는 발표와 함께 당일 미국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3.94% 급락하는 등, 미국 3대 지수 모두  -3%대 이상 하락을 하였으며, 제롬파월의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융긴축 장기화를 시사한 매파적 발언 후폭풍은 여전히 미국주식 시장에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또한 미국 연준은 9월부터 매월 국채 600억 달러 및 주택저당증권(MBS) 350억 달러등 총 950억 달러(약 128조원)의 보유 자산을 만기가 도래하면 상환하고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인 양적긴축(QT)을 통해서 시장의 유동성을 더 축소할 예정입니다.

 

이처럼 미국 연중은 높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9월 양적긴축(QT)과 큰 폭의 금리인상[빅스텝(0.5%) 또는 자이언트스텝(0.75%)] 으로 미국 채권시장과 증시의 투자심리는 위축되고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높기 때문에 4분기 미국주식을 투자할 때 여유자금으로 더욱 신중하게 판단해서 투자해야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런 투심이 악화되고 변동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미국주식의 개별 종목을 선별해서 투자하기 어려운 서학개미 투자자라면 개별 종목과 같이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되는 상장지수펀드(ETF)에  여유자금으로 적립식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해 보면 어떨까 합니다.

 

다만 미국증시 상장지수펀드(ETF)는 특정 주가지수(S&P 500지수, 나스닥지수, 다우지수) 변동폭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되기 때문에 개별 주식에 투자할 때보다는 평균적으로 가격 변동성이 적은 만큼 수익률 고려와 운용사 수수료가 발생되는 점은 투자 전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미국증시 업종별 상장지수펀드(ETF) 가이드를 ①추종지수 ②배당주기 ③운용 수수료 ④현재 주가 ⑤최근 3년간 수익률 등에 대해서 두 편으로 나눠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SPY 상장지수펀드(ETF) ◈


SPY ETF는 미국증시에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 3대장중 하나입니다.

SPY ETF는 미국주식 대형주를 주로 편입하고 있으며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보유종목 가중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SPY ETF는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중 운영수수료(0.09%)가 제일 높은 점은 투자시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SPY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52%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1.20%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습니다.

SPY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24.00%로 개별 미국주식 종목을 선별해서 투자하기 부담스러운 서학개미 투자자들은 개인 투자 성향에 따라서 여유자금으로 적립식 투자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IVV 상장지수펀드(ETF) 


IVV ETF는 SPY ETF와 마찬가지로 미국증시에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IVV ETF는 S&P 500 지수를 구성하는 500개 종목 전부에 투자하고 있으며, 미국증시 시가총액 방식을 사용하여 분기마다 보유종목의 비중을 결정합니다.

또한 IVV ETF는 미국증시의 대형주를 주로 보유하고 있으며, S&P 500 지수의 운용 실적을 추종하고 있습니다.

IVV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50%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1.20%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습니다.

IVV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23.89%이고, 운용수수료는 0.03%로 SPY ETF 운용수수료 0.09%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VOO 상장지수펀드(ETF) 


VOO ETF는 미국증시에서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VOO ETF는 IVV ETF와 마찬가지로 S&P 500 지수를 구성하는 500개 종목에 전부 투자하고 있으며, 미국증시 시가총액 가중 방법을  사용하여 종목 구성 비중은 분기별로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VOO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55%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1.25%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습니다.

VOO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23.98%이고, 운용수수료는 0.03%로 IVV ETF 운용수수료와 동일합니다.

 

 

QQQ 상장지수펀드(ETF) 


QQQ ETF는 미국증시에서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QQQ ETF는 금융 업종을 투자 대상에서 제외하고 미국증시의 기술주 및 소비자 업종을 위주로 미국주식 대형주를 보유종목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시가총액 방식으로 투자종목의 가중치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QQQ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0.62%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0.43%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습니다.

QQQ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37.40%이고, 운용수수료는 0.20%로 앞선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3개의 대표 상장지수펀드(ETF) 보다는 운용수수료가 높습니다.

 

 

DIA 상장지수펀드(ETF) 


DIA ETF는 미국증시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DIA ETF는 다우존스 30개의 단위형 투자신탁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미국증시 다우존스 지수 보유종목에 대해 주가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DIA ETF는 월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94%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1.58%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습니다.

DIA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16.11%로 S&P 500지수 ETF와 나스닥 지수 ETF 3개년 평균 수익률보다는 낮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으며 운용수수료는 0.16% 입니다.

 

 

KBE 상장지수펀드(ETF) 


KBE ETF는 미국증시에서 S&P Banks 지수를 추종하는 금융업종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KBE ETF는 미국주식 시장에 상장된 지역 은행 기관들을 대표하는 기업들로 구성되었으며, 시가총액의 가중 지수로 보유종목의 비중을 산출하고 있습니다.

KBE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2.62%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2.16%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조금 높아졌으며, 금융업종 상장지수펀드 (ETF)라는 특성상 배당 수익률은 다른 상장지수펀드(ETF)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KBE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15.17%이고, 운용수수료는 0.35% 입니다.

 

 

SOXX 상장지수펀드(ETF) 


SOXX ETF는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섹터지수(PHLX)에 근거하여 미국증시 나스닥과 다우지수에 상장된 반도체 업종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SOXX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00%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0.64%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SOXX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51.35%로 미국증시 3대지수 평균 수익률보다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보였으며, 운용수수료는 0.35% 입니다.

 

 

 SMH 상장지수펀드(ETF) 


SMH ETF는 SOXX ETF와 마찬가지로 미국증시에 상장된 대표 25개 반도체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반도체 업종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SMH ETF는 연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0.73%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0.51% 보다는 배당 수익률이 약간 높아졌습니다.

SMH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52.62%로 미국증시 3대지수 평균 수익률보다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보였으며, 운용수수료는 0.40% 입니다.

 

 

BLCN 상장지수펀드(ETF) 


BLCN ETF는 나스닥 블록체인 경제 지수를 추종하는 블록체인 업종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BLCN ETF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생태계의 회사를 선별해서 투자 종목으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BLCN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0.99%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과 동일합니다.

BLCN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31.83%이고, 운용수수료는 0.68%로 다른 상장지수펀드(ETF)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높은 편입니다.

 

 

XLI 상장지수펀드(ETF) 


XLI ETF는 미국 인더스트리얼 섹터 지수의 실적을 추종하는 산업재 업종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XLI ETF는 미국 전기와 건설 장비, 폐기물 관리, 기계류 등 공산업 대형주를 보유종목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시가총액 방식으로 투자비중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XLI ETF는 분기 배당을 하고 있으며, 배당 수익률은 1.53%로 전년도 배당 수익률 1.25% 보다 배당 수익률이 약간 높아졌습니다.

XLI ETF는 미국증시에서 최근 3개년 평균 수익률은 18.22%이고, 운용수수료는 0.10% 입니다.

 

 

METV 상장지수펀드(ETF) 


METV ETF는 미국증시에서 올해 2월 상장된 메타버스 업종 신규 상장지수펀드(ETF)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