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국채는 높은 금리와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 때문에 일반적으로 여유자금의 재테크 수단으로 많이 투자하고 있는 투자상품입니다.
모든 나라의 국채는 그 해당 국가가 디폴트 상태, 즉 원리금 상환 만기일에 지불 채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가 아니라면, 원금이 안정적으로 보장되고 확정된 이자를 만기일까지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여유자금으로 투자했던 브라질 국채를 연초에 매수했는데, 부득이하게 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만기까지 보유하지 못하고 연중에 매도를 하게 됐을 때, 브라질 국채의 매도시점에 대한 고민과 궁금증에서 이번 글을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용어 설명>
국채(Government Bond)는 발행자가 국가인 채권으로 사업집행이나 다양한 목적의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차용증서입니다.
1. 브라질 국채 예상 평가금액 정리
23년 1월말에 여유자금으로 브라질 국채 2백주를 ₩460,526,083원에 매수했다고 가정했을 때, 위의 예상 평가금액 정리표에서 나타나듯이 상반기에는 6월말 브라질 국채 평가금액(₩573,052,218원)이 가장 높았으며, 하반기에는 12월말 평가금액(₩586,663,302원)이 제일 높게 나타납니다.
여기서 1월말부터 8월말까지는 확정된 브라질 국채단가 및 환율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예상이 아닌 실질적 평가 결과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9월말부터는 상반기 단기 증가분을 월별로 반영하여 브라질 국채단가를 산출하였고, 환율은 9/11일자 환율을 12월말까지 동일하게 적용하여 브라질 국채 예상 평가금액을 산출하였습니다.
2. 브라질 국채 매도시점과 이자수익
그러면 여유자금으로 매수했던 브라질 국채의 매도시점은 언제로 할지, 여러분들은 결론을 도출하셨나요?!!
" 브라질 국채 예상 평가금액 현황 " 에서 산출된 평가금액을 근거로 하면 상반기는 6월말에 매도시점과 하반기는 12월말 매도시점을 목표치로 설정하는 게 수익률 극대화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더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왜 6월말과 12월말에 브라질 국채 단가가 제일 높게 나타날까요?!!
이는 브라질 국채의 이자수익 지급시점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브라질 국채는 정기적으로 이자수익을 1년에 두 번 나눠서 지급하는데, 지급시점이 1월초와 7월초 입니다.
이처럼 브라질 국채의 단가는 특이사항이 발생하지 않는 한 이자지급 전달에 가장 높은 단가를 나타냅니다.
이는 이자지급 전까지 국채의 단가에 이자금액이 반영되어 국채단가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생각해 보면 이자지급 후 브라질 국채의 단가가 최대치로 떨어지는 시점인 1월말과 7월말에는 매도시점을 피하는 것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여러분들도 브라질 국채를 투자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내용으로 해당 증권사에 문의를 해보시면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브라질 환율 증감
브라질 국채의 높은 금리와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의 장점을 반감시키는 제일 큰 요인은 환율일 것입니다.
다행히 올해는 9월 11일 시점으로 연초대비 14.29% 브라질 환율이 올랐습니다.
다만 4월부터는 브라질 환율이 상단 275원 ~ 하단 260원대 박스권에 갇혀 있는 상태인데, 브라질 물가는 떨어지고 경제 성장률은 올라서 헤알화 가치가 더 올라갔으면 하는 바람도 갖아보게 됩니다.
이처럼 선진국중의 선진국인 미국주식이나 채권에 비해서, 브라질 국채와 같은 다른 나라의 해외 채권과 주식에 투자할 때는 환율 변동추이를 예의주시해서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해야 된다고 생각됩니다.
참고적으로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주요국통화의 대원화 환율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에서 결산을 할 때 화폐성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적절한 환율로 평가할 때 기준이 되는 특정날짜의 환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시간 나실 때 아래와 같이 확인해 보시는 걸 추천드리며, 이번 포스팅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용어 설명>
기준환율<The Basic Exchange Rate)은 외환거래에서 특정 한 나라의 통화의 관계가 다른 외환 시세의 산정 기준이 되는 환율을 말하며, 시장평균환율 이라고도 합니다.
https://ecos.bok.or.kr/
ecos.bok.or.kr
'일반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 (143) | 2023.10.17 |
---|---|
홈택스에 사업용 신용카드 등록하기 (161) | 2023.10.11 |
퇴직연금 디폴트옵션과 운용상품 알아보기!! (48) | 2023.09.07 |
창업시 세금관련 대표 사이트 정리 (58) | 2023.09.05 |
23년 3월 · 4월 주요 세무일정 확인하기!! (8) | 2023.02.24 |